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[회의록]2025 인천광역시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기획리빙랩_교통1 2회차

작성자김O중

게시일: 2025-11-14

조회수: 11

회의일시

2025년 10월 31일(금) 14:00~16:00

장소

인하대학교 60주년기념관 112호

주제

1차 분석 주제 도출, 해결할 문제 구체화 및 목표 초안 설정

아젠다

1. Problem Framing Canvas를 통한 브레인 스토밍

2.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

3. 플랫폼 확산과 기대감 형성

활용툴

Problem Framing Canvas

진행내용

1. 지난 활동(관찰 캔버스) 요약

- 혼잡도와 대중교통 이용 간의 상관관계, 배차간격의 불규칙성이 주요 이슈로 도출됨

- 환승빈도는 대중교통 수단 부족과 관련되며, 택시승차 집중 지역과 대중교통 이용 저조 지역 간 교점 확인

- 버스 노선·정류장별 데이터 분석을 통한 노선 재설정 및 혼잡도 완화 필요성 제기

- 교통 인프라의 공간적 불균형, 단순 통계보다 이동 행태와 생활 패턴을 반영한 데이터의 중요성 강조

- 지역·수단별 대중교통 불균형, 주요 환승 거점 중심의 연계 필요성이 공통 인사이트로 도출됨

2. Problem Framing Canvas 진행

- ITS데이터 기반으로 문제구간, 영향대상, 발생시점 등을 구조화하고 “How Might We” 문항을 통해 해결 관점을 도출

- 시민들이 체감한 구체적 교통 혼잡 유형과 지역적 특성을 데이터로 연결할 수 있었음

3. 팀별 프레이밍 주요 발화 요지

- 1팀: 배차간격 불균형, 영종대교 병목, 스마트신호등 활용 제안

- 2팀: 행정기관 분산으로 인한 대응 한계,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, 탄력적 버스운영 제안

- 3팀: 시간·환승 중심 네비게이션의 한계, 걷기·러닝 등 행동데이터 결합 및 ESG 관점 제안

- 4팀: 짧은 거리 정체 및 신뢰도 저하, 급행노선 운영 제안

- 5팀: 고가·지상철로 인한 병목, 버스전용차선 도입, 환승정보 정교화 필요성 제시

4. 팀별 최종 발표 요약

- 공급·수요의 시간차, 특정 구간 정체, 기관 협업 필요성, 시민 중심의 데이터 활용형 교통전략 제안이 공통적으로 제시됨

- 새로운 네비게이션 방식, 스마트 교차로, 무빙워크 등 물리·디지털 혼합형 대안 제안

5. 전문가 의견(인천교통정보센터)

- 교통 병목의 근본 원인은 인근 환경요소(건물·업종 등)와 연계되어 분석 필요

- 데이터 수집·활용을 통한 과학적 민원 제기 및 정책 기반 강화의 중요성 강조

- 시민들이 실제 데이터를 다루고 해석하는 능력을 확보한 점에 대해 긍정적 평가

다음회차

1. 2회차에서 도출된 문제 정의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·정교화

2. 교통 흐름 및 대중교통 이용 개선을 위한 해결방향 후보 도출

3. 우선 실증 가능한 핵심 주제 선정

게시글: [회의록]2025 인천광역시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기획리빙랩_교통1 2회차  이미지
게시글: [회의록]2025 인천광역시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기획리빙랩_교통1 2회차  이미지
게시글: [회의록]2025 인천광역시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기획리빙랩_교통1 2회차  이미지
게시글: [회의록]2025 인천광역시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기획리빙랩_교통1 2회차  이미지
게시글: [회의록]2025 인천광역시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기획리빙랩_교통1 2회차  이미지
  • 첨부파일